교육목적
본 과정은 1년 과정으로서 정신건강법에 의해 지역사회 내 각급 정신건강관리기관뿐만 아니라 보건소 등에서 국민정신건강을 향상시키고 예방과 치료 및 재활을 위해 계속적으로 봉사할 수 있는 적절한 지식, 태도 및 능력을 갖춘 정신건강전문요원을 양성함에 있다.
교육목표
- 대상자의 건강력과 정신상태를 사정할 수 있다.
- 지역사회 정신건강 문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.
- 스트레스반응 양상을 이해함으로써 대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.
- 지역주민에게 정신건강 증진과 예방에 대해 교육할 수 있다.
- 정신병적 행동양상의 치료 및 간호중재를 적용할 수 있다.
- 치료적 인간관계술과 상담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.
- 집단상담기법을 습득함으로써 집단상담을 실시할 수 있다.
- 집단상담기법을 습득함으로써 가족상담을 실시할 수 있다.
- 지역사회 정신건강 문제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.
- 스트레스반응 양상을 이해함으로써 대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.
- 지역주민에게 정신건강 증진과 예방에 대해 교육할 수 있다.
- 정신병적 행동양상의 치료 및 간호중재를 적용할 수 있다.
- 치료적 인간관계술과 상담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.
- 집단상담기법을 습득함으로써 집단상담을 실시할 수 있다.
- 집단상담기법을 습득함으로써 가족상담을 실시할 수 있다.
교육과정
교과과정 | 이론 | 이수시간 | 실습 | 이수시간 |
---|---|---|---|---|
1 | 건강 사정 및 진단 | 30 | 건강 사정 및 진단 | 150 |
2 | 정신 간호 중재 및 치료 | 60 | 정신 간호 중재 및 치료 | 280 |
3 | 발달 단계별 정신 간호 | 26 | 발달 단계별 정신 간호 | 240 |
4 | 지역 사회 정신 간호 | 25 | 지역 사회 정신 간호 | 100 |
5 | 간호 연구 | 9 | 기관견학 | 20 |
6 | 학술 활동 | 20 | ||
7 | 간호연구(사례연구) 발표 | 40 | ||
총 | 150 | 850 |